pISSN: 2288-7857

경찰복지연구, Vol.4 no.2 (2016)
pp.102~138

군 장병의 부대적응과 군대폭력에 미치는 영향 : 입대 전 학교폭력 경험을 중심으로

조동택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찰학 박사(2016년))

이상훈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찰학 박사과정)

본 연구의 목적은 ① 군 장병의 입대 전 학교폭력 경험이 부대적응과 군대폭력 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② 이를 바탕으로 군대폭력 예방과 근절을 위 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군 장병의 입대 전 학교폭력 경험이 부대적응과 군대폭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학교폭력 경험의 하위요인 중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학교폭력의 가해경험이 적을 수록 군대폭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폭력에 대한 태도의 하위요인 중 폭력금지에 대한 인식, 폭력금지의 정당성, 폭력이외의 문제해결 방 안에 대해 긍정적인 사고를 가질수록 학교폭력의 경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학교폭력의 경험이 군대폭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 며, 그 외에도 부대적응이 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④ 학교폭력 경험 의 하위요인 중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학교폭력의 피해경험이 적 을수록 부대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⑤ 부대적응의 하위 요인 중 개인의 심신안정이 높을수록, 군 조직 환경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군대폭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⑥ 학교폭력의 피해 및 가해 경험이 없는 장병집단이 있는 집단보다 폭력사용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더 높 고, 부대적응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⑦ 학교폭력의 피해경험이 없는 장병집 단이 있는 집단보다 폭력사용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 더 높고, 부대적응력도 우수 한 것으로 나타났다. ⑧ 학교폭력의 가해경험이 있는 장병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폭력의 금지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 더 높고, 부대적응력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군대폭력 예방과 근절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 였다. ① 학교폭력 및 군대폭력 예방을 위한 유관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 다. ② 군대폭력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전담할 수 있는 법률체계 보 완이 필요하다. ③ 군대폭력 예방 교육 및 프로그램의 보완․발전이 필요하다. ④ 병 영생활 전문상담관의 운용체제를 보완해야 한다. ⑤ 입대 전 주요 폭력경험자에 대한 사전식별 및 관리대책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⑥ 군 장병의 부대적응 향상 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군대폭력 예방과 관련한 연구와 정책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Impact of Conscripts' Adaptation to the Military Environment and the Military Violence : Based o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before Enrollment

Cho Dong Taeg

Lee Sang Ho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following: (a) validate how the conscrip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ffects the military violence, and (b) suggest a policy direction to prevent and eradicate the military violence based on the findings. The details of the hypothesis testing are the following : (a) A conscrip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the attitude towards violence are directly related to the mental and physical abuses in the military. (b)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ttitude of a conscript towards violence and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c)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directly affects the military violence and has mediated effects on the adaptation to the military environment. (d) The more a person recognizes the wrongness of school violence and the lesser one is exposed to school violence, the better one adapts to the military environment. (e) A group of conscripts with no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nd of abusing others in the past turns out to be better at adapting to the military environment. (f) A group of conscripts who were victims of school violence has negative attitudes and views on using violence and adapts to the military environment better than those without such experience. (g) Those with experience of abusing others in school have more negative views on the forbiddance of violence, and have difficulty in adapting to the military environment. Based on the findings, a several policy-level suggestions have been suggested to prevent and eradicate the military violence. (a) A close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institutions designed to prevent school violence and military violence needs to be established. (b) We must define a clear concept of the military violence, and complement and develop a legal system that is dedicated specifically to deal with the concept. (c) Education and programs on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needs to be developed and complemented. (d)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counsel system of barracks life is another action required to prevent the military violence. (e) Measures of identifying people who experienced school violence prior to the induction and managing them afterwards need to developed and improved. (f) The correlation between one’s adaptability to the military environment and the military violence is significantly high. I hop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ongoing efforts to reform the barrack culture.

Download PDF list





[15852] 경기도 군포시 한세로 30, 한세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신현기 교수연구실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31) 450-5312, 010-5298-5587     Email. jin7499@hanmail.net
Copyright © KOREA ASSOCIATION FOR POLICE WELFARE STUDIES. All rights reserved.